Lento의 경제

자이언트 스텝 그 뜻과 경제시장에 끼치는 영향

Lento(렌토) 2022. 8. 15. 16:18
반응형

요새 증시, 부동산, 물가 등 전체적으로 아주 난리가 났죠?

증시야 요즘 좀 회복하는 듯한 추세를 보이곤 있는데 아직은 단정 지을 수 없고

월급은 안 오르는데 물가는 끝을 모르고 올라가고

부동산은 미분양이 넘쳐나고 이렇듯 요새 시장 상황이 말이 아닙니다

지금 이정도의 경제혼란이 나타난 것은 아무래도 연준의 금리인상이 큰 몫을 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월급빼고 다오르는 물가...

 

코로나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돈을 엄청나게 풀었었죠 그 여파로 지금 물가가 엄청나게 올라버렸고요

흔히 말해 인플레이션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연준에선 금리인상이라는 패를 들고 나왔습니다.

금리를 올려 자산을 가둬두고 소비를 줄여 물가를 잡겠다는 취지로 금리인상을 행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긴축정책이죠

 

지금 우리나라도 굉장히 힘든 긴축정책을 단행했죠? 한은이 처음으로 빅 스텝을 밟은 것입니다

여기서 빅스텝이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 p를 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은 이렇게 한번에 올리지 않죠 한 번에 올리게 되면 그만큼 증시에 영향도 심하게 미치고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금리도 오르기 때문에 가계부담도 그만큼 커지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상황에 연준이 아직도 배제하지 않은 카드 자이언트 스텝으로 인한 영향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죠

여기서 오늘 알아볼 경제용어인 자이언트 스텝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자이언트 스텝

 

자이언트 스텝이란 위의 빅 스텝과 비슷합니다

간단합니다 기준금리를 한번에 0.75% p 올리는 것이죠

이렇게 보면 참 간단한 용어인데 막상 우리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보면 절대 간단하지 않죠..ㅎ

 

위의 기사들을 보시듯 아직까지도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은 화두에 올라있는 걸 알 수 있죠

특히 우리나라는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미국보다 좀 더 올려야 되게 때문에 훨씬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보다 금리가 낮다면 외인 투자자들이 전부 빠져나갈테니 그걸 막기 위해서라도 

미국보다 높은 금리를 채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또 저 위의 기사중 '영끌족' 비명 '커진다'라는 기사 제목이 있죠?

기사 제목 그대로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금리는 그보다 더 오르게 됩니다

지금 대출 금리만 봐도 7-8%나 되는데 여기서 미국이 자이언트 스텝을 밟게 된다면 대출을 한계까지 끌어 받아

투자를 한 영끌족들은 그야말로 피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는 것이죠

얼마 전만 해도 투자가 성행이었으니 영끌족이 많이 생겨났지만 이런 상황이 올 줄은 몰랐던 거죠

 

또한 파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코스피 지수도 내리 하락을 겪었죠?

지금이야 연준이 물가상승이 둔화되었다고 판단해 자이언트 스텝을 보류 중이라

증시가 반등하긴 했지만 아직 모르는 일입니다

암튼 이번 금리 인상으로 3천까지 올랐었던 코스피가 2300까지 떨어지는 등 그야말로 지하층을 뚫어버렸죠

물론 여기에 우크라와 러시아의 전쟁도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미국의 빅 스텝과 한은의 빅 스텝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을 거라고 생각해요

금리인상으로 투자심리가 엄청 위축되고 그로 인해 가계지출을 줄이기 때문에 이 정도의 하락이 

나타난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코스피뿐만 아니라 나스닥도 수년만에 이렇게 큰 폭으로 떨어졌다고 하니 

전 세계적으로 난리라는 것은 그냥 봐도 알 수 있겠죠

 

또 한 가지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까지 올르면서 부동산의 미분양이 판을 치고 있습니다

역대급 미분양이라는데 이런 상황이 현재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죠

집을 청약을 하든 중도금 대출을 받든 어쨌든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대출이자가 천정 지부로 솟아버렸으니 누구도 선뜻 분양받기가 꺼려지는 거죠 차라리 은행에 저축하는 게

자산도 지키고 안정적이니 말이죠

 

뭐 이런 상황에서도 정신이라도 똑바로 차려야 자산증식은 몰라도 자산 보존은 가능할 테니 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 이러한 경기 침체 속에서 모쪼록 잘 헤쳐나가시기 바랍니다...ㅎㅎ

 

이렇게 오늘 첫 경제 분야로 포스팅을 해봤는데 제가 봐도 부족한 부분들이 많은데 

혹시라도 이 글을 보고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그걸 통해 저도 배워가야 되니까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아무래도 처음 경제 분야로 포스팅을 한 것이다 보니까 자료조사 등의 부분에 있어서 미흡한 점이 많은데

그 점 감안해주세요~

 

이 포스팅은 지극히 주관적이고 전문가의 글도 아닙니다!

그냥 대학생이 끄적인 글이니 너무 진지하게는 접근하지 말아 주세요!!

반응형